본문 바로가기

마케팅 칼럼

온라인 식품 판매 시작

반응형

 

사장님의 사업장에서 인기 좋은 메뉴가 있습니다. 해당 메뉴를 온라인으로 판매하려고 하는데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요?

코로나 시대이니 만큼 포장에 관하여 사장님들의 노하우는 많으실 것 같습니다.

 

 

가게에서 파는 상품, 스마트스토어에서 판매해도 되나요?

 

온라인 식품 판매에 필요한 서류
1. 사업자등록
2. 즉석식품제조가공업
3. 통신판매업신고
  • 사업자등록

사업자 등록은 판매를 위해서 꼭 필요합니다.

사장님들께서는 이미 사업자등록증이 있으실 것이고 창업을 준비하시는 분이라면

필수적인 서류이므로 세무서 또는 홈텍스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. 이 내용에 대해서는 차차 다시 안내해드리겠습니다.

 

  • 즉석식품제조가공업

즉석식품제조가공업은 식품을 판매할 경우에 위생과 제조 환경을 확인하기 위한 절차로 식품을 판매하는 사람이라면 필수 입니다. 이 또한 창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필수적인 사항이죠.

하지만 이것도 경우에 따라서 다른 서류를 발급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 부분도 추가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.

 

  • 통신판매업

통신판매업신고는 온라인으로 판매를 하는 사람이라면 필수적입니다. 사업자 등록과 마찬가지로 홈텍스를 이용할 수 있으니 움직이지 말고 집에서 진행해보세요.

 

즉석식품제조가공압 VS 제조식품가공업


즉석식품제조가공업 제조식품가공업
기준 내가 직접 만들어서 소비자에게 판매 내가 만든 제품을 중간 유통자를 통해 판매
추가 필요한 서류

HACCP(해썹)
즉석식품제조가공업

 

제조식품가공업

 

위 표에서 보시듯이 중간 유통자의 유무의 차이가 있습니다.

사장님께서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판매가 이뤄질 경우는 '즉석식품제조가공업신고' 이며,

사장님이 판매자에게 납품 후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판매가 이뤄질 경우 '제조식품가공업신고'에 HACCP를 받아야 합니다.

 

HACCP란?
식품의 원재료 생산부터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 각 단계에서 생물학적, 화학적, 물리적 위해 요소가 해당 식품에 있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관리 시스템

위생교육의 경우 온라인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.

 

http://ifoodedu.or.kr/Main.cmd?cmd=academyUser

 

한국외식업중앙회 온라인 위생교육

일반음식점 기존영업자 온라인 위생교육

www.ifoodedu.or.kr

 

 

복잡하고 많은 작업이 필요하지만 사장님들의 매장 내에서 판매뿐 아니라 온라인 상의 판로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더욱 번창하실 것이라 믿습니다!

 

 

반응형